아이패드 미니 구입기

정말 신기한 경험이였다.

아이패드가 발매된다 알았지 나는 명동에 나가지도 않았고 그렇다고 밤새서 코엑스 있지도 않았다. 나는 뉴 아이패드를 살 예정이 없었고 내 마음도 그랬다. 단지 난 새로나온 미니가 어떻게 생겼는지 구경하고 싶었을 뿐이다. 아침에 일어나서 사람들이 아이패드를 막 구입했다는 글들을 보며 궁금했을 뿐이다.

지하철을 타고 건대역으로 가서 프리스비를 찾았다. 도착한 시간은 아홉 시 조금 넘은 시간 이미 명동에서 여덟시에 물건을 다시 시작했으니 이쪽도 장사를 하고 제품이라도 있을거란 생각 때문이었다. 그런데 이게 왠 말인지건데 프리스비는 열시에 연다고 하였다. 아 그렇구나 하고 뒤돌아 순간 매장 직원이 말을 걸었다. “혹시 iPad 예약하실건가요?”

그냥 구경 하러 왔다고 했어야 되는데 전혀 다른 대답이 나왔다. ” iPad Mini 32 기가 화이트 한대 뉴 iPad 32 기가 한대 예약하려고 합니다” 예약자 명단에 보니 내가 일번이다…왜이렇게 건대점엔사람이 없을까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건대는 프리스비 말고도 컨사이어지라는 다른 리셀러샵 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여덟시부터 물건을 팔기 시작했다고 했다. 길 건너편에 그곳에를 가보니 과연 매장은 열려있었고 사람들이 몇몇 있었다.

그리고 나는 보았다 그것을…

눈부시게 아름다운 그대여(..)

검고 작은 그것은 아침햇살에 눈부시게 밝았다. 하지만 바로 옆에 있는 사세대 아이패드는 정말 쨍하고 빨랐다. 바로 그곳에서 구입할수 있었으나 예약해놓은 것도 있고 나는 좀더 고민할 시간이 필요했다.

하지만 고민이라 단어는 자신을 위한 구차한 변명 정도 일까. 1등으로 프리스비에 진입하여 화이트 대신에 블랙을 선택하고 1등 고객님 사은품까지 챙겨서 나왔다. 두개의 신형 아이패드 가방을 들고 아이폰4s를 리퍼받는데 왜이렇게나 앱등한건지…

가볍고, 아이패드다. 이것으로 역대 최고의 만족도를 주는구나. 레티나 미니가 나오기 전까지 우리 같이 잘살아보자.

레티나 맥북프로 모니터 3개 연결하기

레티나 맥북프로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주목하는 점은 넓은 해상도에 있다. 나 역시 그러하지만 사실 발표 스펙을 보고 가장 놀란 점은 외부 연결이 3개 까지 가능하다는 사실 이었다. 썬더볼트 포트 2개와 HDMI포트로 이루어지는 3개의 외부 포트는 나같은 미디어 작업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엄청나게 편리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최근에 공연용 PC를 한대 맞추면서 그래픽 카드를 6950으로 맞춘 이유는 확장성에 있었다. miniDP 2개와 hdmi 그리고 dvi 2개가 꽃혀있는 그래픽 카드는 6950밖에 없었다. 7xxx시리즈는 dvi가 한개 라던지 포트가 1개에서 2개정도 빠져있는 상태로 출시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외장 그래픽에 저만큼에 내부 보드에도 dvi, hdmi, DP, RGB까지 달려 있으니 pc한대에서 외부로 뽑아내는 그 양은 과거와 비교해 볼 때 엄청나게 용이해졌다. 과거에 멀티 모니터를 사용하기 위해서 수천만원에 해당하는 제품을 사용하여 연결하였지만 최근의 기술의 발전은 그래픽 카드 하나에서 많은 일을 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확장성을 뒷받침하는 것은 CPU다. 영상을 내보낼 때, 있는 힘껏 짜내는 역할을 하는 CPU의 발전은 이러한 구성을 쉽게 할 수 있게 해준다.

아무튼 이번 작업에 사용하기 위해 프로젝터 2대를 빌렸고 내가 가진 한대까지 있는 김에 맥북프로에 붙여보았다. 썬더볼트 포트는 미니디피 포트와 규격 대응을 하기 때문에 굳이 썬더볼트 디스플레이가 아니더라도 miniDP to RGB 젠더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오른쪽에 달린 hdmi에는 그대로 hdmi 케이블을 사용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윈도우에서도 마찬가지지만 miniDP젠더를 그냥 꼽기만 해도 컴퓨터에서는 모니터가 붙은 것으로 인식을 한다. PC에서는 알 수 없는 모니터로 나오는데 맥북프로에서는 계속 화면이 깜빡이는 현상이 발생했다. 외장 모니터를 인식하는데 들어오는 실질적인 신호가 없어서 생기는 문제다. 물고기 뻐끔뻐끔 하더니 젠더에 rgb선으로 프로젝터를 연결하고 나니 괜찮아진다. hdmi에도 바로 연결이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연결시에 그래픽 카드는 모두 외장인 650으로 연결된다. 평상시에는 HD4000으로 기본 모니터를 사용하는데 외장 모니터를 연결시에는 모두다 외장그래픽 카드로 넘어간다. 풀 사이즈 영상 재생은 안해보았지만 전체 해상도 영상이라면 어느 정도 버거워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일단 그건 컨텐츠를 만들어 보고 나서 테스트를 해볼 일이다. 일단 영상인 아닌 이미지로 테스트를 해보았을 때는 잘된다. 

TripleHead2Go 를 사용하여 노트북에서 3개의 외장 모니터를 연결 했었다면 그러한 외부 장치 없이 네이티브 장치 하나 만으로 3개가 나간다는 것은 꽤나 편한 일이다. 여기에 TH2G를 사용한다면 5개까지 가능 할테니 꽤나 편하게 장치를 구성할 수 있을 듯 하다. 물론 성능도 지켜봐야 하겠지만 흔히 공연에 쓰는 프로젝터 스펙이 1024 768 임을 생각해 볼때 어느 정도는 현장에서 커버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나처럼 프로젝션 맵핑 아트를 하는 사람이라면 본 설치 이전에 작업을 노트북으로도 편하게 가능하게 할테니 레티나 맥북프로는 좋은 선택이다.

돈을 조금 더 들여서 cpu를 2.7로 했어야 하지 않나 하는 아쉬움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