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여행자 : Une Vie Toute Neuv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요일 오후, 느즈막히 일어나서 아침을(저녁을) 챙겨먹고 튼 티비에 막 뜬 오프닝 시퀀스. 쟁쟁한 배우들 이름이 나와서 굉장히 놀랐다. 이창동, 설경구, 믄성근, 고아성 등등. 감독은 프랑스인. 도대체 뭐지? 언제 찍은거지? 무슨 영화지? 짧은 단편인가 음 이렇게 시작한 티비 속의 여행자에 끝날 때까지 푹 빠졌다.

감독 우니 르콩트는 한국에서 태어나 영화의 주인공 처럼 프랑스로 입양되어 살아왔다. 그런 그녀의 자전적이라 할 수 있는 여행자는 스토리면에서도 뛰어나지만 더욱더 뛰어난 미장센은 1시간의 이 영화가 얼마나 공을 들였는가를 느낄 수 있었다. 이러한 영화의 바탕에 더할 나위 없는 연기를 펼친 배우들이 있었다.

김새론 이라는 아역 배우에 대해 아무런 정보도 가지지 않았었기에 난 그저 ‘고아성’의 아역 정도로 생각했다. 헐 그런데 저 멀리서 스쳐지나가듯 다리를 저는 배우는 고아성이 아닌가; 난 심상치 않은 기운을 느끼며 보았다. 문성근은 언제 나오나 싶었는데 까메오 수준; 설경구는 혹시 첨에 등판만 나오던 아저씨? 헐~ 하지만 이 여행자라는 영화속에 있는 김새론이란 배우는 아역을 붙이지 않아도 될 만큼 성숙하다. 어린 아이기에 세밀한 연기가 부족한게 아닌, 어린 아이인데도 불구하고 어린 아이의 감정을 ‘제대로’ 연기 할 수 있는 재능을 보였다. 특히 자신을 묻어버리는 장면은 영화 속 이야기에서 정말 중요한 장면이라고 느꼈는데, 이런 연기를 담담히 해내는 모습에(돌이켜보니, 보고 있을 땐 푹 빠져서 다른 생각 안함) 다음 작품이 기대 되는 배우이자 10년 뒤가 기다려지는 배우가 되었다.
이 글을 쓰기 위해 포스터를 찾아보니, 작년에 어디서 본 포스터다. 홀로 거리를 걷다 볼까 말까 서성이던 하지만 포스터에 적힌 문구들이 땡기지가 않아서 지나쳤던 작품인데 정말 아쉽다.

지난 한국 영화 보기

모처럼 집에 아무도 없는 주말을 틈타 밤새도록 영화를 봤다. 아무 생각 없이 보고 싶은 영화들을 고르고 싶었는데 마땅히 눈에 띄이는 것은 없고 그냥 집히는 데로 보았다. 그중 한국영화 두편이 있었는데 백야행과 애자다.

백야행 개봉 당시에 포스터 문제로 인해 이것저것 말들이 많아서 별 관심을 두지 않았었다. 당연히 극장에서 볼 생각은 눈꼽만큼도 하지 않았고 대충 평들도 별 재미 없었다는 식이 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래서 그런지 보고 나니 볼만 했다는 생각이 든다. 사실 백야행 원작도 안본 상태긴 했으니 비교할 것도 없고 나름 이런 저녁에 괜찮았던 선택이었네. 세월이 지나도 한석규는 한석규였고 고수와 손예진은 그렇고 그런 뭐 음…

두 번째 영화인 애자는 잠을 자려고 이도 닦고 불도 다 꺼놓고 잠깐 켜본 것이 끝까지 보게 되었다. 왈가닥 딸로 나오는 최강희와 드센 엄마로 나오는 김영애, 두 명이서 정말 괜찮은 연기를 하였다. 영화 속에선 딸과 엄마의 모습이지만 왠지 모르게 화면을 쳐다보기 부끄러움을 느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