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현과 집 거실에서. 포토부스.
하나.
Dr.K 도현이 시드니에 왔다가 갔다. 아크로스 모임이 지속되면서 -비록 광남고에 있는 모든 써클이 학교공부라는 이름 하에 제거되어진다 하여도- 몇 년전 부터 시작한 말이 있다. 언젠가 우리 모임은 한국이 아닌 세계 어느 나라 중 한군대에서 모이자고. 물론 누가 기억할지는 장담은 못하지만.
호주에와서 영어가 딱히 눈에 띄게 늘어난 것도 아니고, 내 전문 기술 숙련도가 올라간 것도 아니지만 지구본을 볼 수 있는 마음 가짐 하나는 생긴 듯 하다. 짧은 여행속에서 스쳐가듯 보고 다닌 건물들이 아닌, 다른 인간들이 존재한다는 것은 한국에 있었다면 알지 못했을 일이다. 내가 당장 내 방세를 위해 손을 잘라먹어가며 일을 해야 하는 현실이 즐겁다.
삶은 지속적으로(everyday로 이해하는 사람이 없길 바라며;) 새롭게 시작되고, 재미있는 일들이 가득하다. 내가 대학을 가지 안겠다고 했었을 때, 엄마가 말을 했었다. 또래들과 나이대에 즐길 수 있는 것을 즐겼으면 좋겠다고. 하지만 내 마음속의 타의든, 자의든 한국의 대학의 줄서기 교실과 강의실에서 빠져나옴으로서, 그 과정에서 내가 볼 수 있었고 생각할 수 있었으며 깨달으 수 있었고 그리고 행동할 수 있었던 모든 것들이 재미있다.
지금보다 나이가 어렸던 시절, 그 때도 나는 “재미가 없는 일은 할 수가 없다.” 라고 했었다. 그럴 때마다 들려오는
대답은 “언제나 재미있는 일만 할 수가 없다, 너도 나이가 들면 알게 될 것이다” 였다. 내가 생각해냈다고 생각했던 대부분의
것들은, 이미 누군가가 생각을 하고 말을 했던 전례를 생각해 볼때, 나도 저 의견에 동의할 날이 올 것임을 확신한다. 하지만
언제가 될지는 모르겠다.
언포츄너리(..)한 것은, 시간은 지금도 지나간다는 일이다.
둘.
오랜만에 만나는 엄마의 초등학교 동창들의 모임, 아빠의 시골친구들의 모임, 다들 그 어린시절에서 떠나 성장한 후에 다시 만나 그 세월의 간극 속에서 추억을 이야기 하곤 한다. 나이가 먹는 다는 것은 아마도 이런 것일 거라고 생각해 왔다. 하지만 아무래도 내 세대에는 불가능한 일이 될 것 같다. 누군가와 보지 않음으로서, 못함으로서 자연스럽게 헤어짐을 경험하게 된다는 것, 헤어짐의 성숙을 갖는게 어려워진 것이다.
4학년 이후, 처음 만난 사이의 아이들 부터는 아직도 연락을 하고, 언제든지 누가 어떻게 사는지 알 수 있다. 지금 초등학교를 다니는 아니들은 내가 놓친 그 아이들을 놓치지 않을 것이다. 과거보다 좀 더 오랫동안 누군가들과 연결되는 방법들을 가지고 있는 나와 우리들은 그로 인해 과거에 비해 정신적인 성장이 더디다고 할 수 있을까.
유치원 시절의 (류?유?)상록이(극동아파트 8동, 비디오가 집에 없던 시절, 피아노 학원끝나고 그 녀석 집에 가서 볼트화이브를
빌려와 같이 보던)와 강성찬(극동아파트 10동에 살던, 내가 맨날 놀러가서 재믹스를 하며 놀던 곳, 양배추 인형 나의 그시절
가장 좋아하던 게임)은 어떻게 사는지 모른다. 그 녀석들은 나를, 그 애니메이션을, 그 게임을 기억하고 있을까.
나는 헤어짐의 성숙함을 잃어 가는 대신에, 연결됨과 이어짐에 대한 인연의 무게를 지고 가는 방법을 배우고 있다.
보고싶다.
재미있다는 것은 호기심이 계속 발동한다는 뜻이니까 괜찮구만.
재미가 있어서 하는 일의 단계를 지나 해야하는 일을 재미있게
하는 지혜를 쌓아가고 있는 것 같은……
몸은 상하지 않도록 조심하고.
하루에도 수어번씩 결정이 뒤바뀌는……
살코기 잘라먹었니?
이제 나이가 있어서 잘 복귀 안된다구, 조심하라규~ㅋㅋㅋ
난…간신히 나태해지지 않는 정도로만 살아가고 있다;후;;
여기서 술을 먹지않으니깐(이라고 쓰고 돈이 없어서라고 부연설명)
치유가 잘돌지도 몰라. 근데 뱃살은 정말 안빠진다;;;
난 나태해 나태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