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여행자 : Une Vie Toute Neuv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요일 오후, 느즈막히 일어나서 아침을(저녁을) 챙겨먹고 튼 티비에 막 뜬 오프닝 시퀀스. 쟁쟁한 배우들 이름이 나와서 굉장히 놀랐다. 이창동, 설경구, 믄성근, 고아성 등등. 감독은 프랑스인. 도대체 뭐지? 언제 찍은거지? 무슨 영화지? 짧은 단편인가 음 이렇게 시작한 티비 속의 여행자에 끝날 때까지 푹 빠졌다.

감독 우니 르콩트는 한국에서 태어나 영화의 주인공 처럼 프랑스로 입양되어 살아왔다. 그런 그녀의 자전적이라 할 수 있는 여행자는 스토리면에서도 뛰어나지만 더욱더 뛰어난 미장센은 1시간의 이 영화가 얼마나 공을 들였는가를 느낄 수 있었다. 이러한 영화의 바탕에 더할 나위 없는 연기를 펼친 배우들이 있었다.

김새론 이라는 아역 배우에 대해 아무런 정보도 가지지 않았었기에 난 그저 ‘고아성’의 아역 정도로 생각했다. 헐 그런데 저 멀리서 스쳐지나가듯 다리를 저는 배우는 고아성이 아닌가; 난 심상치 않은 기운을 느끼며 보았다. 문성근은 언제 나오나 싶었는데 까메오 수준; 설경구는 혹시 첨에 등판만 나오던 아저씨? 헐~ 하지만 이 여행자라는 영화속에 있는 김새론이란 배우는 아역을 붙이지 않아도 될 만큼 성숙하다. 어린 아이기에 세밀한 연기가 부족한게 아닌, 어린 아이인데도 불구하고 어린 아이의 감정을 ‘제대로’ 연기 할 수 있는 재능을 보였다. 특히 자신을 묻어버리는 장면은 영화 속 이야기에서 정말 중요한 장면이라고 느꼈는데, 이런 연기를 담담히 해내는 모습에(돌이켜보니, 보고 있을 땐 푹 빠져서 다른 생각 안함) 다음 작품이 기대 되는 배우이자 10년 뒤가 기다려지는 배우가 되었다.
이 글을 쓰기 위해 포스터를 찾아보니, 작년에 어디서 본 포스터다. 홀로 거리를 걷다 볼까 말까 서성이던 하지만 포스터에 적힌 문구들이 땡기지가 않아서 지나쳤던 작품인데 정말 아쉽다.

[영화] It’s Complicated : 사랑은 너무 복잡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영화, 우리 나라에선 참 늦게 개봉했다. 대부분의 큰 시장은 작년 연말 크리스마스 시즌에 개봉을 하였는데 눈발 다 날리고 주렁주렁 비오는 이 때 개봉이라니. 국내 배급사는 그나마 화이트 데이를 생각하고 극장에 올린 듯 하지만 관객들이 일단 얼마나 들지 모르겠다. 이 영화엔 기본적으로 블링블링한 아가씨와 청년들은 겉절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럼으로서 이야기는 좀 더 깊어졌다.
원제는 It’s complicated 국내명은 사랑은 너무 복잡해. 그래, 이 영화는 복잡한 영화다. 때론 손발이 오그라드는, 웃음기가 돌게 하는 그렇게 가볍게 진행이 되는 영화다. 그래서 한번 더 말하면 이 영화는 복잡한 영화다. 마치 초등학교 저학년 시절 오멘3를 비디오로 빌려보면서 왜 벗은 여자가 벗은 남자등을 햘퀴고 괴롭히는데 다음날 아침에 저리 사이 좋게 지낼까 하고 품었던 의문같은 일이다.(다시 보게 된다면 기억의 왜곡을 많이 잡아 낼지도) 해독 코드가 없으면 이해할 수 없다. 연애의 감정도 아픔도 즐거움도 그리고 선택의 기로에 서보지 못하면 알 수 없는 암호로 되어 있다. 그래서 이 영화는 오직 어른을 위한 영화가 될 수 밖에 없다.
즐거움도 고통도 시간이 지나면 흐릿해져도 삶에는 흔적이 남기 마련이다. 그 흔적이 바로 현재라는 사실을 영화 속 jane을 통해 전해 준다.

——————————-
사용자 삽입 이미지

깔끔한 디지털 상영

덧1. 메가박스 동대문은 정말 사람이 별로 없는 듯;
덧2. 화면은 넓찍히 괜춘한데 비율이 가로가 좀 잘린듯 싶다. 요즘 영화 16:9 로 만들지 않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