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Iron Man 2 : 아이언맨 2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이언맨1을 보고 난 그렇게 열광하지 않았다는 것을 방금 확인했다. http://www.co2n.com/tt/entry/영화-Iron-man-아이언-맨 그런데 난 왜 어째서 이 글을 첫머리를 “아이언맨1을 보고 감동했었다.” 라고 쓰려 했었을까?

뭔가 기억이 굉장히 많이 왜곡되어 있다. “내가 보기엔 중박에 조금 더 이상정도랄까나.” 라고 평가를 했었던 1편인데 언제부터 내 머리 속에서 ‘대박’ 으로 바뀌어졌지 음. 가장 유추하기 쉬운 결론 주변에서 2편이 나오기 전에 하도 기대하는 모습을 보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그 배경엔 1은 내가 그다지 머리나 마음 속에 남는 영화가 아니었기에 가능하다는 추론이다. 아무튼 이 문제는 다음에 다시 다뤄보기로 하고 정말로 내가 열광한 영화 “아이언맨 2” 에 대해 이야기를 해야겠다.


위에도 썼지만 1차 예고편이 나온 이래 사람들로 부터 수 많은 메세지를 받았다. 흡사 외계에서 전달 되어온 신의 메세지와도 비슷한 일인데 아무 여과 없이 난 바짝 긴장한 채로 잔뜩 기대감을 품고 영화를 기다리고 있었다. 그리고 개봉. 일정상 개봉 날에는 볼 수가 없었기에 블로그와 게시판에 나오는 스포일러성 글들은 다 제외하고 다녔다. 하지만 제목에다가 ‘실망이네’ 투의 글들을 많이 볼 수 있었다. 결정적으로 보러가기전 전날 조니가 ‘2편은 별로던데 1편은 잼있다며’ 라고 말을 해서 신을 기다리던 심정에서 신은 오지 않았다 는 마음으로 바뀐체로 극장을 찾았다.

그리고….
아이언맨2 최고다! 를 외치고 극장에서 나오는 자신을 발견(..) 보는 내내 손에 힘이 들어가고! 탄성을 지르고! 흐흐흐.
(전날 형아가 요구한 덕에 구해놓은 1편을 시간낭비 삼아 복습한 효과가 독톡히 있었다)

아이언맨 2는 아이언맨1로 부터 이어지는 내용이다. 1편에서 마지막에 자신이 아이언맨 임을 밝힘으로서 끝이 나는데, 이 거만한 천재 히어로의 사회적 고난이 2편의 내용이다. 영화의 큰 흐름은 1편과 다르지 않다. 하지만 1편이 비교적 무난한 흐름을 추구 했다면 2편에서는 여러가지 요소들을 다양하게 넣음으로서 영화를 보는 내내 지루하지 않게 해준다. 또한 본격적인 슈트의 일상화가 되면서 여타의 히어로물-슈퍼맨, 배트맨 등등- 처럼 평상시엔 말쑥한 남자, 위기시엔 슈퍼 히어로가 아닌 정말 ‘인간적인 히어로’를 보여준다. 특히나 처음 갈등을 마주하게 되는 모로코씬에서 ‘변신!’ 하는 모습은 감동의 눈물이 주르르 ㅠ_ㅠb

이 외에도 스칼렛 요한슨이 열연!!!!! 한 블랙 위도우와 마지막까지 엔딩크레딧을 즐기면 볼 수 있는 쿠키에 등장하는 토르, 그리고 극 중간에 등장하는 ‘아니 당신이 이걸 어디서 구했소!?’ 라며 드립치는 캡틴 아메리카 방패 라던지 앞으로 이제 즐길 거리 떡밥을 날름날름 던진 2편이라 더 재미있는 듯.

영화를 보면서 기술적으로 생각난 것은, 뭐 3D야 이제 다들 눈이 적응이 되서 현실과의 괴리감같은 건 쥐나 줘버려 분위기고, 홀로그램 기술의 발전을 표현한 것이 인상적이었다. 레이저를 쏴서 공간을 만들어야 할텐데 장치는 천장에서 어떤 식으로 쏴야 할까 음. 사람이 들어가도 음영간섭이 없이 하려면 설치를 어찌 한건가…뭐 이런 망상에 가까운 생각.

1편은 기계공학오타쿠의 성장기였다면 2편은 그와 컴공과 물리학 복수전공한 오타쿠(누가 생각나 음)끼리의 싸움 이라고 강렬히 기억하게 할만한 장면이 있다. 아주 약간 중요한 스포일러 포함
[#M_ more.. | less.. | 극장에서 나온지 10분만에 생긴 의문인데 미키루크가 열연한 이반은 왜 어째서 자신이 만약에 진다면 폭팔하게 만든 로봇들에게 경보장치를 만들었을까(..) 그냥 가만히 있다가 터졌으면 자신이야 어짜피 죽지만 아이언맨도 무사치 않았을텐데(..) 개발 과정에서 디버깅을 위해 넣은 건지 안그러면 나름 공대미학적인 의미에서 넣은건지 나야 공대생이 아니니 알 수 없지만(엄밀히 말하면 물리학도) 결론은 음 뼛속까지 프로그래머? 그리고 개인의 취향을 적절히 반영한 무기로서 채찍을 들었다는 점에서 흐흐._M#]


뭐 이런 미국 코믹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들을 볼 때마다 마음 한구석에 불편한 감정이 있는데(물론 극을 보는데는 아무 지장도 없고 생각도 잘 안나는…) 9.11 테러 이후에 소위 말하는 대작들에 대한 헐리우드의 제작 방식이 틀려졌고 그리고 그 충격에서 아직도 헤메이는 듯 하다.는 소견이다. 그런 의미에서 허트로커도 피해 갈 수 없는 시대적 산물이기도 하고. 아튼 이 문제도 다른 글에서. 이 글은 오직 아이언맨2 찬양!




원작 코믹과 비교 해 잘 정리해놓은 글 링크 합니다 클릭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씨너스 명동점이 좋은 이유는 영화 시작전에 광고가 안나왔어!!

덧. 아이언맨 시리즈가 2년 단위로 나오는거 보면 반지의 제왕 3부작이 1년마다 나왔다는데 경의를 표한다.
덧2. 세계관이 확장 될 수록 죽기전에 다 볼 수 있을까 걱정이 커져산다(..)

[영화] The Hurt Locker :: 허트 로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몇일 전 롯데 시네마 맴버쉽 포인트가 소멸 위기(!)에 있다는 메일을 읽고 보니 포인트로 영화 한편 볼 정도는 된듯 했다. 30일이 지나면 포인트가 없어 지기에 29일에 영화를 보려 했으나 추워서 나가기가 귀찮은 날(..) 이었고 마침 또 30일은 회의가 있어 어쩔 수 없이 나가야 하기 때문에 대충 시간 맞춰서 보려 했다. 아이언맨은 선약이 있고 딱히 극장에 땡기는 영화도 없었지만 오직 소멸만은 막아야 한다는 소명으로 건대 롯데 시네마에 갔지만 수많은 대기줄에 질려 기계로 갔다. 근데 기계 에서는 사용 포인트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금요일이라 비싸져서 그런건가 싶어서 포인트고 뭐고 집에 가려다 팝콘이라도 바꿔먹어야 겠다는 생각으로 줄을 섰다. 오질나게 많은 사람들 속에서 결국 내 차례가 오고 포인트로 팝콘을 사겠다고 하니 하는 말 “매표소 가셔서 바꿔오셔야 합니다.”….시바…내가 오기가 생겨서라도 먹고 만다. 다시 대기 번호표를 받고 또 한참을 앉아 있다가 매표소에 가서 포인트로 팝콘으로 바꾸려다가 넌지시 물었다. 포인트로 표도 살 수 있나요? 그랬더니 “예 표1매와 음료수 교환권으로 드립니다” “아까 기계에선 안된다고 하던데” “아 기계는 그렇습니다”………………미;내어ㅣ멍니마ㅓ니ㅏ어미나ㅓ임 “그럼 표로 주세요” “어떤 영화 보시겠어요?” “7시 20분에 있던 영화인데…” “아이언맨2요?” “아니요, 허트 로커요.”

아카데미에서 당연히 아바타가 받을 줄 알았던 작품상을 ‘허트 로커’가 받았다는 소리를 듣고 이게 뭔일인가 싶었었다. 당연히(?) 우리 나라에서는 이 영화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곳은 없었고 우리 나라에서 그렇듯이 전 세계가 아바타의 새로운 영상미에 흠뻑 취해 있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아카데미에서 상을 받은 덕에 국내에도 개봉을 하였기에 개봉 첫주에 찾아가 보려 했었으나 이리저리 바쁘다가 그냥 또 지나가려 했다. 하지만 이러한 고난을 길을 겪고 나서 보고 난 후 내가 할 말은 한 줄뿐.

“아직 이 영화를 안 봤다면 당장 극장으로 달려가길 간절히 바란다.”


이 영화는 아카데미 작품상이다. 그 이름에 뭐 대단한 뭐라도 있다고 생각하는 건 아니지만, 내가 심사위원 이었다면 아바타가 아닌 이 작품에 작품상이라는 이름을 붙여 주었을 것이다. 영화는 시종 일관 팽팽한 긴장감이 존재한다. 실제 이라크 전에 참전한 듯이, 일상의 전쟁, 그 죽음의 공포가 절실히 와 닿는다. 그것은 극을 이끌어가는 미군들에게서만 느끼는 것이 아닌, 폭팔물 제거를 지켜보는 주민들에게도 동일 하다. 총든 사람들이 동네를 누비고 마을 어디서 폭탄이 터질지 모르는 그 상황, 이 영화도 전쟁을 포장하지 않았다고 할 수 없다. 영화는 영화니까. 그렇다 해도 영화에서 스크린을 넘어와 건내주는 느낌은 생생하다.

여러말 주저리 주저리 쓰다가 또 지우고 그냥 끝내야 겠다.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옆 자리에 앉은 커플 중 남자가 존나 팝콘을 빨리 쳐먹길 바랬었...



덧. 수년간 CGV만 다녔는데 언제 롯데 포인트가 이리 쌓였었나 음.

덧2. 이창동 감독의 시 를 어서 보고 싶다.